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안드로이드 앱 만들기 : 알림 구현 방법 Snackbar 와 Toast 차이


원본출처: 티스토리 바로가기

앱을 구현 하다 보면 알림을 보여 주어야 하는 경우가 있게 된다. 그럴때 마다 쉽게 했던 방식은 Toast 알림을 이용하는 방식으로 구현하는 것이였다.

 

 

Toast 알림 예시

Toast 의 경우의 위 영상에서 20초 이후 구간에 보이는 화면 하단에 잠시 나오는 알림창이다.  코드 구현은 다음과 같이...

                Toast.makeText(context.getApplicationContext(), context.getString(R.string.msgUpdateCompleted), Toast.LENGTH_SHORT).show();

파라미터로 넣어주어야 하는 것은 context, 문자열, Toast의 길이 이렇게 3가지가 전달 되면 구현이 가능 하다. 

 

 

다음은 Snackbar 인데, 이것은 알림 나왔다가 사라는지는 구현도 가능하겠지만, action 을 넣어 주면 버튼 클릭이 끝나면 동작을 마무리 하도록 구현해 볼 수 있다.

 

 

Snackbar 알림 예시

위 영상의 예시처럼 화면에 알림을 띄워주고 사용자가 click 을 할 때 까지 기다리는 동작을 구현해 볼 수 있다.

코드 구현은 다음과 같이 해 볼 수 있다.

        Snackbar.make(                 ((Activity) context).findViewById(android.R.id.content),                 context.getString(mainTextStringId),                 Snackbar.LENGTH_INDEFINITE).setAction(context.getString(actionStringId), listener).show();

첫번째 파라미터는 알림을 담을 content 인데, android.R.id.content 는 안드로이드가 제공하고 있는 일반적인 content 을 담을 수 있는 것이락 생각하면 쉬을 것 같다. 다음은 화면에 보여줄 문자열이고, 그 다음은 action 을 위한 버튼에서 보여줄 문자, 마지막으로는 해당 action 을 클릭했을 때 처리할 action listener 을 넘겨 주면 된다. 

 

이것으로 알림 방법에 대해 간략하게 알아보았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개인정보처리방침 안내

 billcoreaTech('https://billcoreatech.blogspot.com/'이하 'https://billcoreatech.blogspot')은(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의 개인정보를 보호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 이 개인정보처리방침은 2021년 8월 26부터 적용됩니다.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 billcoreaTech('https://billcoreatech.blogspot.com/'이하 'https://billcoreatech.blogspot')은(는) 다음의 목적을 위하여 개인정보를 처리합니다. 처리하고 있는 개인정보는 다음의 목적 이외의 용도로는 이용되지 않으며 이용 목적이 변경되는 경우에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18조에 따라 별도의 동의를 받는 등 필요한 조치를 이행할 예정입니다. 1. 서비스 제공 맞춤서비스 제공을 목적으로 개인정보를 처리합니다. 제2조(개인정보의 처리 및 보유 기간) ① billcoreaTech은(는) 법령에 따른 개인정보 보유·이용기간 또는 정보주체로부터 개인정보를 수집 시에 동의받은 개인정보 보유·이용기간 내에서 개인정보를 처리·보유합니다. ② 각각의 개인정보 처리 및 보유 기간은 다음과 같습니다. 1.<서비스 제공> <서비스 제공>와 관련한 개인정보는 수집.이용에 관한 동의일로부터<사용자의 설정시간>까지 위 이용목적을 위하여 보유.이용됩니다. 보유근거 : 앱의 기본기능 활용에 필요한 위치정보 제3조(개인정보의 제3자 제공) ① billcoreaTech은(는) 개인정보를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에서 명시한 범위 내에서만 처리하며, 정보주체의 동의, 법률의 특별한 규정 등 「개인정보 보호법」 제17조 및 제18조에 해당하는 경우에만 개인정보를 제3자에게 제공합니다. ② billcoreaTech

안드로이드 앱 만들기 : jetpack compose URL 에서 image 받아와서 보여 주기 (feat coil)

원본출처: 티스토리 바로가기 샘플 이미지 오늘은 앱을 만들면서 이미지를 보여 주어야 하는 경우 중에  URL에서 이미지를 가져와 보는 것에 대해서 기술해 보겠습니다.  URL에서 image를 가져온다는 것은 서버에 저장된 image 일수도 있고, SNS profile의 image 정보일수도 있을 것입니다.    구글에서 찾아보면 다른 것들도 많이 있기는 합니다.  그 중에서 coil 라이브러리를 이용해서 한번 만들어 보도록 하겠습니다.    gradle 설정 그래들 설정은 아래 한 줄입니다. 현재 시점에서 최신 버전인 것으로 보입니다.  이 글을 보시는 시점에 최신 버전이 아니라면 아마도 android studio는 추천을 해 줍니다. // image load from url implementation("io.coil-kt:coil-compose:2.2.2")   manaifest  설정 당연한 이야기 겠지만, url에서 이미지를 받아 와야 하기 때문에 권한 설정을 해야 합니다. 또한 인터넷에서 자료를 받아 오는 것은 지연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application에서도 다음 문구의 추가가 필요합니다.  <uses-permission android:name="android.permission.INTERNET" /> <application ... android:networkSecurityConfig="@xml/network_config" ... /> 이 설정을 하게 되면 xml 파일을 하나 추가해 주면 됩니다.  network_config.xml 이라는 이름으로 말입니다.  <?xml version="1.0" encoding="utf-8"?> <network-security-config> <domain-config cleartext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