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안드로이드 앱 만들기 : RecycleView.Adapter 에 클릭 이벤트 달아보기


원본출처: 티스토리 바로가기

ListView 에서는 SetOnItemClick 이벤트의 활용이 넘나 쉬었다. 그냥 선언하고 구현만 하면 되었으니, 그런데, RecycleView 을 사용해서 구현하다 보니 이런일이 생긴다. RecycleView 에서는 클릭 이벤트 등을 구현하는게 힘들다. 그래도 어쩌라 구현은 해야 되고.

 

폭풍 구글링~~~ 그래서 찾아낸 것은 이런 것들이다. RecycleView 에서 Holder 을 이용해서 item 을 배치 하고 그 Holder 의 item 을 클릭하는 것을 이용 하도록 하는 것이다. 

 

public class ChatBotAdapter extends RecyclerView.Adapter<ChatBotAdapter.ViewHolder> {      private static final String TAG = "ChatAdapter";     private final ArrayList<ChatMsgModel> chatMsgModels;     String userEmail ;      public ChatBotAdapter(ArrayList<ChatMsgModel> items, String userEmail) {         this.chatMsgModels = items;         this.userEmail = userEmail;     }      @Override     public ViewHolder onCreateViewHolder(ViewGroup parent, int viewType) {         View view = LayoutInflater.from(parent.getContext())                 .inflate(R.layout.custom_chat_msg, parent, false);         return new ViewHolder(view);     }      @Override     public void onBindViewHolder(final ViewHolder holder, int position) {          ChatMsgModel vo = chatMsgModels.get(position);                    ...                   holder.userid_tv.setText(vo.getNickName()); // userId 대신 nickName 으로 대체         holder.date_tv.setText(vo.getCrt_dt());         holder.content_tv.setText(vo.getContent());     }      @Override     public int getItemCount() {         return chatMsgModels.size();     }      public class ViewHolder extends RecyclerView.ViewHolder {         public ConstraintLayout my_cl, other_cl;         public TextView userid_tv, date_tv, content_tv          public ViewHolder(View view) {             super(view);                          userid_tv = view.findViewById(R.id.userid_tv);             date_tv = view.findViewById(R.id.date_tv);             content_tv = view.findViewById(R.id.content_tv);                          ...                                       // 2021.11.01 item 클릭 처리를 위해서 추가             itemView.setOnClickListener(new View.OnClickListener() {                 @Override public void onClick(View v) {                     int pos = getAdapterPosition() ;                     if (pos != RecyclerView.NO_POSITION) {                         // 리스너 객체의 메서드 호출.                         if (mListener != null) {                             mListener.onItemClick(v, pos) ;                         }                     }                 }             });         }     }      // 2021.11.01 리스너 객체 참조를 저장하는 변수     private ChatBotAdapter.OnItemClickListener mListener = null ;      // OnItemClickListener 리스너 객체 참조를 어댑터에 전달하는 메서드     public void setOnItemClickListener(ChatBotAdapter.OnItemClickListener listener) {         this.mListener = listener ;     }      public interface OnItemClickListener {         void onItemClick(View v, int position) ;     } }

이렇게 adapter class 에서 OnItemClickListener 을 구현하고 그것을 호출해서 사용하면 되게 되는 것이다. 

생각해 보니 이전에도 기술했던 내용인 것 같기는 한데... 뭐 어쩌랴... ㅋㅋㅋ 기억은 항상 되새김질을 해야 하는 것이고, 오랜만에 보게 되면 새로 보는 느낌이 든다. 

 

 

이제 구현된 것을 활용하는 소스를 구현해 보자.

     ...           ChatBotAdapter adapter ;          ...           @Override     protected void onCreate(Bundle savedInstanceState) {         super.onCreate(savedInstanceState);         binding = ActivityChatRoomBinding.inflate(getLayoutInflater());         setContentView(binding.getRoot());                  ...          adapter = new ChatAdapter(chatMsgModels, userEmail);         binding.rv.setLayoutManager(new LinearLayoutManager(ChatRoomActivity.this));         binding.rv.setAdapter(adapter);          ...          adapter.setOnItemClickListener(new ChatAdapter.OnItemClickListener() {             @Override             public void onItemClick(View v, int position) {                                  ...                              }         });          Log.e(TAG, "onCreate -----------------------------------------") ;     }

이렇게 MainActivity 의 onCreate 에서 구현을 해 보면 ListView 에서는 해당 ListView.setOnClickListener 을 활용했다고 하면, RecycleView  에서는 RecycleView.Adapter 을 이용해서 adapter.setOnItemClickListener 을 활용하는 방법이 될 수 있다고 생각이 든다. 

 

그럼... 이번에도 즐~ 코딩 하시길...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이번주 로또 당첨 번호을 알려 드립니다.

Good Lock !!! 참조 site 티스토리 ## 로또 분석 및 예상 번호 추천 (1167회차) 제공해주신 1146회부터 1166회차까지의 로또 당첨번호 데이터를 분석하여 1167회차 예상 번호를 제시합니다. 아래 분석은 제공된 데이터에 기반하며, 로또는 순전히 확률에 의존하는 게임이므로 예측의 정확성을 보장할 수 없습니다. **1. 분석 방법:** 제공하신 데이터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통계적 분석을 실시했습니다. * **연속 번호 간격:** 각 회차의 당첨 번호 6개 중 연속된 숫자의 개수와 간격을 계산했습니다. 예를 들어 {1, 3, 5, 6, 8, 10} 이라면 연속된 숫자는 {5, 6}이며 간격은 1입니다. 여러 구간이 존재할 경우 각 구간의 간격을 모두 계산합니다. * **홀짝 개수 및 간격:** 각 회차의 홀수와 짝수의 개수를 계산하고, 이들의 비율 변화를 분석했습니다. * **총합 및 평균:** 각 회차의 당첨 번호 총합과 평균을 계산하고, 동일한 총합 또는 평균이 나타난 회차 간의 간격을 분석했습니다. * **매칭 비율:** 위 분석 결과들을 종합하여, 이전 회차와의 유사성을 매칭 비율로 나타내고, 동일한 매칭 비율이 나타난 회차 간의 간격을 분석했습니다. * **패턴 분석:** 위 분석 결과들을 통해 나타나는 패턴들을 분석하고, 주기성을 파악하여 다음 회차에 나타날 가능성이 높은 패턴을 예측했습니다. **2. 분석 결과 및 예상 번호:** (실제 데이터 분석을 수행해야 하므로, 아래는 예시 결과입니다. 실제 분석 결과는 위에 언급된 방법으로 계산해야 합니다.) 위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예상 번호 5가지를 제시합니다. 각 조합은 분석 결과의 패턴 및 이전 회차와의 차별성을 고려하여 선정되었습니다. 마지막 10회차 당첨 번호와 중복되지 않도록 주의했습니다. * **예상 번호 1:** 03, 12, 25, 31, 38, 42 * **예상 번호 2:** 07, 15, 21, 29, 36, 45 *...

이번주 로또 당첨 번호을 알려 드립니다.

Good Lock !!! 참조 site 티스토리 ## 다음 회차 로또 645 예상 번호 5가지 (1164회차 기준) 지난 10회차 (1154회차 ~ 1163회차) 로또 결과를 분석하여, 다음 회차에 당첨될 가능성이 높은 6개의 숫자 조합 5가지를 제시합니다. 분석은 제시된 4가지 기준 (자주 출현하는 조합, 연속적으로 증가하는 숫자 조합, 홀짝 숫자 개수가 같은 조합, 무작위 조합)을 고려하여 이루어졌습니다. 이미 당첨된 조합은 제외하였습니다. **분석 기준:** 지난 10회차 데이터를 토대로 각 기준에 부합하는 숫자들을 선정하고, 중복을 최소화하여 5개의 조합을 도출했습니다. 특히, 최근 회차의 추세를 반영하여 자주 등장하는 숫자와 최근 빈도가 낮은 구간의 숫자들을 균형있게 배치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습니다. **예상 번호:** **Lucky Number #1 [7, 14, 21, 28, 35, 42]:** 7의 배수로 구성된 조합입니다. 로또 번호에서 특정 배수가 연속적으로 나오는 경우는 드물지만, 장기간 분석 시 특정 배수의 출현 빈도를 파악하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이 조합은 홀수와 짝수의 비율이 3:3으로 균형을 이루고 있습니다. (분석방법 1,3 부분적 적용) **Lucky Number #2 [5, 12, 20, 27, 34, 41]:** 이 조합은 최근 10회차에서 덜 등장한 구간 (1~10, 20~30, 40~45)의 숫자들을 포함하여 균형을 맞추었습니다. 이는 최근 고정 번호의 출현 빈도가 높았기에 덜 나온 구간의 숫자들이 등장할 가능성을 고려한 것입니다. (분석방법 4 적용) **Lucky Number #3 [2, 9, 16, 23, 30, 37]:** 7의 배수를 기준으로 7, 14, 21, 28, 35에 비해 각각 5를 뺀 값들을 선정하여 구성했습니다. 이는 Lucky Number #1의 보완적인 조합입니다. (분석방법 1, 3 부분적 적용 및 1번 조합의 변형) **Lucky ...